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방송편성표
- codebuild
- 체육시설할인쿠폰
- 간단어플
- 헬스장할인쿠폰
- ecs
- codepipeline
- aws
- 체육시설3만원
- 간단
- 간헐적단식
- 롤퀴즈
- 체육시설환급
- 챔피언이름
- 간헐적단식 다이어트
- 간헐적단식관리어플
- 재방송
- 간단앱
- 간헐적단식이란
- 간헐적단식타이머
- codedeploy
- 운동닥터
- 간헐적단식어플
- 헬스장환급
- 간헐적단식 관리어플
- 운닥
- 간헐적단식식사
- 플러터애드몹미디에이션
- 논현역헬스장
- 간헐적단식앱
- Today
- Total
리브어트
[Kotiln] Admob 전면광고 사용하기 본문
저는 안드로이드 어플을 개발할때 배너는 UI를 방해하기 때문에 배너보다 전면광고를 사용하려고 로직을 짜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dmob 전면광고를 띄우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Admob 전면광고 만들기
광고 단위 추가를 클릭합니다.
전면 광고를 선택합니다 !
광고 이름을 적고 광고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2. AndroidManifest 설정
앱 설정에서 앱 ID를 복사합니다.
복사한 Admob ID를 @sting/admob에 붙여 넣습니다.
3. 전면광고를 띄우려는 Activity, Fragment에서 해당 코드를 사용합니다.
private lateinit var mInterstitialAd: InterstitialAd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MobileAds.initialize(this, "애드몹에서 발급받은 ID") mInterstitialAd = InterstitialAd(this).apply { adUnitId = "애드몹에서 발급받은 전면광고 ID" loadAd(AdRequest.Builder().build()) adListener = object : AdListener(){ override fun onAdLoaded() { super.onAdLoaded() // 광고가 로드된 뒤에 광고를 보여줍니다. show() } override fun onAdFailedToLoad(p0: Int) { super.onAdFailedToLoad(p0) // 광고 로드를 실패 했을때 예외 처리도 해줍니다. } override fun onAdClosed() { super.onAdClosed() // 사용자가 광고를 종료했을때 실행됩니다. } } } }
InterstitialAd를 생성합니다.
adUnitId에 애드몹에서 발급받은 전면광고 ID를 넣어줍니다.
adListener를 새로 생성합니다.
onAdLoaded()는 광고 로드가 완료되면 실행됩니다. 이때 저는 광고를 보여주는 show() 코드를 실행합니다.
onAdFailedToLoad()는 광고 로드가 실패했을때 실행됩니다. 광고 로드가 실패했을때에도 다음 로직으로 넘어가야하므로 예외처리를 꼭 해줍니다!
onAdClosed()는 사용자가 광고를 닫았을때 실행됩니다. 제가 만든 인물퀴즈 어플에서는 사용자가 정답을 틀리게되면 전면광고가 보여지고, 전면 광고를 종료했을때 정답 Activity를 실행하도록 구성했습니다.
Admob은 광고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고 있어 개발자들이 쉽게 앱에 광고를 개제할 수 있습니다.
전면광고를 게시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질문이나 오류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Tech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RecyclerView 롱클릭 드래그로 위치 변경하기 (2) | 2019.01.10 |
---|---|
[Kotlin] Handler를 사용해서 일정 주기로 반복 작업하기 (0) | 2018.12.19 |
Rxjava subscribeOn과 observeOn 차이 (0) | 2018.12.16 |